카테고리 없음

나무를 심은 사람

그 서풍 2014. 5. 31. 13:56

 

 

 

                                    

                   

                    나무를 심은 사람

                    한 사람이 참으로 보기 드문 인격을 갖고 있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여러 해 동안 그의 행동을 관찰할 수

                    있는 행운을 가져야만 한다.

                    그 사람의 행동이 온갖 이기주의에서 벗어나 있고 그 행동을 이끌어 나가는 생각이 더없이 고결하며

                    어떠한 보상도 바라지 않고 그런데도 이 세상에 뚜렷한 흔적을 남겼다면 우리는 틀림없이 잊을 수 없는

                    한 인격을 만났다고 할 수 있다.

                    - 프롤로그(prologue) : 장 지오노」의 나무를 심은 사람 

                   

                    친구야!

                  「장 지오노의 표현처럼 이 세상에 뚜렷한 흔적을 남긴 잊을 수 없는 한 인격을 바로 이웃 고을 장성

                    에서 만나게 되었거든.

                    서암면 모암리에서 북일면 문암리 금곡마을(일명 영화마을)에 이르는 축령산 자락 90여 만 평의 대지에

                    조성되어 있는 광활한 삼나무와 편백의 숲을 보았어 

                    이곳은 한국의 엘제아르 부피에(나무를 심은 사람의 주인공) 춘원 임종국(春園 林種國:1915~1987)

                    선생의 고결한 신념이 배어 있는 곳이야.

                    춘원 선생이 나무를 심기 위하여 만들었다는 임도(林道) 6km를 따라가며 나는 연방 탄성을 터트렸어.

 

                    친구야,

                    삼사십 미터에 이르는 수령 육십여 년의 삼나무와 편백이 마치 사열하듯이 좌우에 질서정연하게 도열해

                    있는 모습, 그 깊이를 가늠할 수 없이 늘어 서 있는 풍경을 한 번 상상해 봐.

                    마치 자를 대고 갈색 크레용으로 수직선을 그어 놓은 것처럼, 한 점 군더더기 없이 하늘을 향해 솟아 오른

                    올 곧은 DNA에 그만 탄복하게 될게야 

                    혹시 녹차로 유명한 보성의 대한 다원을 다녀온 친구는 그 풍경을 쉽게 떠 올릴 수 있을 거야.

                    막 입구에 들어서면 하늘을 가릴 듯이 쭈욱 늘어 서있는 삼나무의 대열을, 그 수직의 기상을 기억하는 친구

                    는 쉽게 가늠이 되겠지.

 

                    축령산,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꼭 집어 표현할 수 없지만 이곳에 들어서면 여느 산과는 전혀 다른 느낌을

                    갖게 돼.

                    이를테면 쉽게 경거망동하거나 흐트러질 수 없게 만드는 범상치 않은 기품 같은 것 말이야. 

                    아마 피톤치드의 영향을 받아 심신이 정화되어서, 아니면 마치 하늘을 떠받치고 있는 듯 수직의 세계가 주는

                    올 곧은 기상에 매료되었기 때문인지 모르겠어.

                    아무튼 이곳을 찾아 와서 평상시 몸에 익은 습관대로 휴지나 담배꽁초를 아무렇지 않게 버리는 사람은 아마

                    가슴이 메마른 사람일거야.

 

                    춘원 선생은 전쟁의 상흔이 가시지 않은 1956년부터 작고하기 전까지 삼십 여 년 동안 버려져 있는 임야에

                    사재를 털어 자그마치 250만 그루를 조림하였다고 하니 엄청나지 않은가!  

                    당시 소위 보릿고개라 할 정도로 먹고 살기 어려운 시절에 선생의 이러한 선구자적인 의지와 노력이 전 국토

                    를 삼림녹화하게 만드는 밑바탕이 되지 않았을까?

 

                    친구야,

                    한 시간 남짓 되는 가까운 거리에 이런 곳이 있다는 것은 축복이야.

                    내 친 걸음이면 한달음에 갈 수 있는 곳이니 김밥을 싸들고 친구들과 함께 찾고 싶어.

                    그리하여 축령산이 주는 넉넉함과 정갈함에 푹 젖어들어 메마르고 삭막한 가슴 속 깊이 피톤치드를 마음껏

                    마시고 싶다. 

                    세월이 흘러 백 년, 삼백 년 그리고 오백 년, 축령산의 숲과 골이 울창하게 깊어 갈수록 춘원선생의 고귀한

                    발자취는 더욱 뚜렷하게 빛이 나겠지.

                    이 골짜구니에 철따라 태양은 눈부시게 빛나고 산새들은 고운 소리로 노래하며 찾는 이들은 하나같이 꿈과

                    사랑을 고백하게 될게야.

 

                        나무를 심은 사람은 이렇게 끝을 맺고 있어.

                    한 사람이 오직 육체적 정신적 힘만으로 홀로 황무지에서 이런 가나안 땅을 이룩해 낼 수 있었다는 것을

                    생각하면  인간에게 주어진 힘이란 참 놀랍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위대한 혼과 고결한 인격을 지닌 한 사람의 끈질긴 노력과 열정이 없었던들 이러한 결과는 있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할 때마다 나는 신에게나 어울릴 이런 일을 훌륭하게 해낸 배운 것 없는 늙은 농부에게 크나

                    큰 존경심을 품게 된다.

                    - 에필로그(epilog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