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이야기

구이린 은자암 동굴

그 서풍 2014. 6. 11. 22:34

 

 

 

 

 

// '음악석병'  파이프 오르간의 기둥처럼 보였을까?

 마치 황금빛 커텐을 펼쳐 놓은 것만 같다. ^)^

 

 

 

 

 

 

// 마침 웅덩이떨어진 물방울의 궤적,

동굴을 둘러보는 동안에도 지하수는 방울지어 우리의 어깨 위로 떨어지고 있었다.

 

                         계림(桂林: 구이린)은 약 3억 년 전에 해저였다고 한다.

                         지구의 지각대변동에 의해 육지가 된 것이다.                                               

                               이를 두고 벽해계림(碧海桂林)이라고나 할까.                                                                                      

                         계림이 천혜의 비경을 자랑하게 된 배경에는 이곳이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탑 카르스트 지형이기

                         때문이다.

                         탑 카르스트란 석회암이 물에 용해되면서 남게 된 탑 모양의 기암괴석 봉우리를 말하며 중국의

                         구이린베트남의 하롱베이, 터키의 파묵칼레 등이 여기에 속한다.

                         계림에서 빼 놓을 수 없는 것은 지하의 기이한 동굴로서 지상에 못지않은 빼어난 경관이 펼쳐져 있다.

                         관암, 은자암, 노적암 등 수 많은 동굴이 산재해 있으며 지금도 개발 중에 있다고 한다.

 

                         석회암 동굴은 수억 년이 넘는 긴 세월 동안 암석의 틈을 따라 스며든 지하수가 석회암을 녹여서

                         만들어진 천연동굴이다.

                         바위틈으로 스며든 물은 동굴의 밑바닥에 고이기도 하고 천장에서 떨어지거나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기도 한다.

                         스며든 지하수가 왕성하게 활동할 수록 다양한 형태의 종유석과 석순, 석주 등을 연출하는 것이다.

                         석순과 종유석은 일 년에 기껏 0.1mm정도 밖에 자라지 않는다.

                         1m 높이의 종유석이나 석순이라면 무려 연륜이 1만년이나 된 셈이다.

                               은자암 동굴은 다층식 종류동굴로서 생성시기는 대략 30만년 전으로 추정한다고 한다.

                        

                         불과 한 세기도 누리지 못하는 한정된 삶의 안목을 지니고 과연 무엇을 보았다고 할 수 있을까?

                         한방울의 지하수가 수십만 년 동안 쌓이고 쌓여 빚어 낸 이 기묘한 세상, 그저 눈앞에 펼쳐진

                         별천지 앞에서 숨이 벅차 오를 뿐이다.

                         중국인들이 계림을 일러 죽기 전에 반드시 찾아봐야 할 곳으로 선정한 이유를 알 것 같다.

                                     

                         종유석 : 천장에 고드름처럼 매달려 자라고

                         석순 : 한 방울씩 바닥에 떨어져 쌓여 죽순 모양으로 자란 것,

                         석주 : 종유석과 석순이 하나로 이어진 기둥.

 

 

 

// 비단 폭포수같은 다층 종유석 앞에서 인증 샷 ^)^